최제우와 용담정 - 용트림처럼 솟는 민중의 힘을 불러낸 비구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5 19:58
본문
Download : 최제우와 용담정 - 용트림처럼 솟는 민중의 힘을 불러낸 비구름.hwp
이를 …(To be continued )
최제우와용담정






본 資料는 최제우와 용담정에 대해 조사정리(arrangement)한 리포트입니다. 본디 용담정은 최제우의 할아버지가 최제우의 아버지(근암 최옥)을 공부시키기 위해 처음 지었던 `용담 정사`였다.최제우와용담정 , 최제우와 용담정 - 용트림처럼 솟는 민중의 힘을 불러낸 비구름법학행정레포트 ,
순서
1. 용담(龍潭; 용이 서린 연못)과 그밖의 유적들
2. 최제우의 생애
3. 동학 사상
1. 용담(龍潭; 용이 서린 연못)과 그밖의 유적들
용담정은 현곡면 가정리(整理) 귀미산(龜尾山 594m) 기슭에 있다아 이곳은 천도교 신도들의 수련원으로도 이용되고 있다아 가정리(整理) 의 토박이 이름은 `갓길`이며 이곳에는 천도교 신도가 많고, 최제우의 방손들이 살고 있다아 행정구역은 1-2-3 리로 나뉘어 있고 가정1리가 최제우가 나서 자란 마을인데 생가는 없어지고 유허비만 서 있다아 가정2리는 가정리(整理) 의 중심되는 큰 마을이며 초등학교가 자리잡고 있다아 가정3리는 귀미산 기슭 골짜기에 자리잡은 작은 마을인데 안쪽 계곡에 용담정이 있다아 가정3리를 `마룡(馬龍) 골`이라고도 하는데 용담정 근처의 바위에 용처럼 생긴 말의 발자국이 남아 있다 해서 그렇게 부른다. 이곳 용담정은 최제우 스스로, `용이 서린 연못의 물이 흘러 네 바다의 근원이 된다`(龍潭水流四海源)고 말한 것처럼 세상을 이끌어나갈 진리가 처음으로 열린 후천개벽의 성지(聖地)이다.
1) 용담definition 내력 : 용담정은 수운 최제우가 경신년(庚申年·1860) 4월 5일에 한울님으로 부터 동학의 진리를 득도한, 천도교의 발상지이다.
레포트/법학행정
설명
Download : 최제우와 용담정 - 용트림처럼 솟는 민중의 힘을 불러낸 비구름.hwp( 93 )
,법학행정,레포트
최제우와 용담정 - 용트림처럼 솟는 민중의 힘을 불러낸 비구름
본 자료는 최제우와 용담정에 대해 조사정리한 리포트입니다.
다. 지금은 용담정을 복원하고 그 일대를 성역화 해놓았으며 그곳까지 들어가는 도로를 말끔히 포장해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