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environment오염 reality(실태) 와 environment오염 저감 대책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7 11:44
본문
Download : 북한의 환경오염 실태와 환경오염 저감 대책에 관한 연구.hwp






레포트/자연과학
설명
다.
이러한 금강산 하류댐의 유입량 감소는 하류 5개댐에 마주향하여 년간 330억원어치에 해당하는 4억4000만kWH의 전력손실을 예상하고 있으며 화천댐은 작년 5월의 1,260만kWH에서 40%인 510만kWH로 떨어졌다.북한의환경오염실태와환경오염저감대책에관한연구 , 북한의 환경오염 실태와 환경오염 저감 대책에 관한 연구자연과학레포트 ,
북한의environment오염reality(실태) 와environment오염저감대책에관한연구
,자연과학,레포트
Download : 북한의 환경오염 실태와 환경오염 저감 대책에 관한 연구.hwp( 71 )
순서
북한강 춘천지점(강원도 춘천군 신복면 용산리)의 COD(화학적산소요구량)가 작년 4월 1.4ppm에서 올해 4월 2ppm으로 나빠졌으며 팔당호도 동기간동안 3.2ppm에서 3.7ppm으로 높아지는 등 금강산댐 하류 8개지점중 7곳에서 수질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매년 525억원어치(15억t)의 수자원 감소를 …(To be continued )
북한의 environment오염 reality(실태) 와 environment오염 저감 대책에 관한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북한의 environment오염 reality(실태) 와 environment오염 저감 대책에 관한 연구
북한의 환경오염 실태와 환경오염 저감 대책에 관한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또한 청색증을 유발하는 NO3-N(질산성질소)도 팔당댐의 경우 작년 4월 0.486㎎/ℓ에서 올들어 3배나 높은 1.366㎎/ℓ으로 증가했다. 상류인 경기도 남양주시 삼봉리지점의 pH(수소이온농도)가 2000년 4월 9.5로 높아졌으며 팔당댐은 pH 9.2를 기록하였으며, 경기도 가평군 대성리 지점은 9.2, 강원도 춘천시 안보리 춘성교지점은 pH 8.6을 기록하는 등 북한강 수질의 알칼리화가 심화되고 있는데 이는 금강산에서 나오는 물이 동해쪽으로 흘러감으로서 생기는 현상이라는 것이다.
이미 북한강의 알칼리화도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