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기 듣기 영역의 교육 내용에 대한 재고(再考)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30 21:03
본문
Download : 말하기 듣기 영역의 교육 내용에 대한 재고(再考).hwp
그러므로 교과서 역시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말할 수 있도록 편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생들이 말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바르고 정확하며 effect적으로 표현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능을 신장, 계발 시켜주기 위해서는 언어에 관한 理論적 원리나 concept(개념)을 교사의 해설 위주로 설명(說明)하는 방법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3.1 지식 내용
말하기·듣기 단원의 구성 원칙을 살펴보면 ‘단원의 길잡이’는 goal(목표) 해설, goal(목표) 의 중요성을 제시하여 교육과정상의 ‘본질’ 부분을 포괄하도록 하였고 소단원의 ‘도입문’은 goal(목표) 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과 기능 제시, 그 방법과 기능의 수행에 대한 안내 등을 제시하게 되어 있따 (교육부, 1997:20) 이들은 모두 말하기·듣기 영역에서 다루어야 할 교…(省略)
순서
,사범교육,레포트
학생들이 말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바르고 정확하며 효과(效果)적으로 표현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능을 신장, 계발 시켜주기 위해서는 언어에 관한 theory 적...
학생들이 말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바르고 정확하며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능을 신장, 계발 시켜주기 위해서는 언어에 관한 이론적... , 말하기 듣기 영역의 교육 내용에 대한 재고(再考)사범교육레포트 ,
설명
Download : 말하기 듣기 영역의 교육 내용에 대한 재고(再考).hwp( 30 )
레포트/사범교육
말하기 듣기 영역의 교육 내용에 대한 재고(再考)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다.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6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가 교실 내에서의 실제 국어 수업이 학생 중심의 언어 사용 활동이 되도록 편찬되었다고 밝히고 있따 또 이를 위해서 말하기·듣기 영역의 활동 제재는 주로 학생들의 경험 세계와 친숙한 소재를 중심으로 구성하였고 특히, 문자나 그림 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의미를 언어화하고 언어를 재의미화하는 경험을 가능한 많이 가지도록 하였다고 설명(說明)하고 있따(교육부, 1997: 18-19) 학생 중심의 언어 활동과 활동의 실제성(authentic)을 추구하는 것은 현재 언어 교육에서 지향하는 것을 적극 수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따
말하기·듣기 영역 단원의 체계는 ‘단원 길잡이-소단원(도입문-학습활동) 3개-단원마무리’로 구성되어 있따 이 중 ‘단원 길잡이’와 ‘소단원의 도입문’은 말하기·듣기를 위한 concept(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을 제시하고 있고, ‘학습활동’과 ‘단원 마무리’는 활동거리로 이루어져 있따 이 장에서는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의 <말하기·듣기>단원을 모두 대상으로 하여 그 교육 내용의 적합성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겠다. 오히려 학생들이 자기 자신의 언어를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가능한 한 많이 가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