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가요 속에 나타난 남성중심성과 탈가부장적 노래文化에 대한 고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0 10:53
본문
Download : 대중가요 속에 나타난 남성중심성과 탈가부장적 노래문화에 대한 고민.hwp
06대중가요속남성중심성
대중가요 속에 나타난 남성중심성과 탈가부장적 노래文化에 대한 고민
순서
설명
Download : 대중가요 속에 나타난 남성중심성과 탈가부장적 노래문화에 대한 고민.hwp( 77 )
레포트/인문사회
06대중가요속남성중심성 , 대중가요 속에 나타난 남성중심성과 탈가부장적 노래문화에 대한 고민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0. 들어가는 말
1. 대중 가요에 나타난 악녀의 이미지
2. 수동적 여성- 대조적 적극적 남성
3. 이중잣대
4. 남자 가수들의 노래에 자주 등장하는 사별
5. 대안 찾기
* 별첨
1. 대중 가요에 나타난 악녀의 이미지
못된 일에는 항상 여성이 관련되어 있다
요즘 대중 가요는 대부분 사랑노래이고, 사랑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질투, 이별 등을 노래한다.
지금까지는 악…(To be continued )
다. 핑클의 “가면의 시간”이라는 노래에서도 노래의 화자는 자신을 악녀로 비하하고 있따 이 노래의 내용은 화자(여)에게는 남자친구가 있는데 언제부턴가 남자친구의 친구가 더 좋아지고 있다는 내용이다. “포기해. 그 앤 이제 너를 원하지 않아. 오로지 그의 마음속은 나로 가득 차 있어. 미안해. 이런 얘기 나도 원하지 않아. 오 제발 그의 변심 앞에 나를 탓하지는 마” 김완선의 `talent`라는 노래에서도 이러한 면을 찾아 볼 수 있는데, 이 노래는 친구의 남자를 가로챈 자신을 스스로 ‘흰양의 탈을 쓴 여우’라는 식으로 비하하고, 악녀로 치부한다. 이러한 노래들에서 적지 않게 여성이 ‘악녀’의 이미지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따 그리고 이러한 악녀를 노래하는 가수가 여성인가 남성인가하는 문제는 성별에 따라 그 노래가 낳는 효과(效果)가 다를 것이다.
먼저 박지윤의 `Steal away`라는 곡은 한 남자를 둘러싸고 두 여자가 있는데, 그 중 한 여자는 악녀로 그 남자를 가로채는 역으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