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칠정논쟁(사칠논쟁)이란? (논쟁의 발단, 전개, 의의 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01:15
본문
Download : 사칠 논쟁.hwp
단순하게 보면 칠정은 정이고 definition 근거는 성이므로, 칠정도 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아 그렇다면 칠정 중의 악도 순선무악한 성에서 비롯되었다고 아니할 수 없다.
도서를 읽고 정성껏 정리(整理) 해 보았습니다. 사단칠정 논쟁은 이처럼 주자학의 심성론으로 해결되지 않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전개되기 스타트하였다. 이 경우 앞서의 전제와 어긋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선한 심리 현상마저도 일관성 있는 설명(說明)을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된다. 두 사람의 논지는 사단과 칠definition 관계를 어떻게 파악하느냐에서 갈라진 것이다. 『천명도』에서 정지운이 사단은 리에서 발한 것이고, 칠정은 기에서 발한 것이다라고 작성했던 부분을, 이황이 사단은 리가 발한 것이고, 칠정은 기가 발한 것이다로 고치도록 정지운에게 권했던 것이다. 이황의 편지를 받은 기대승은 사단칠정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정리(arrangement)하여 이황에게 편지를 보내게 되었고, 이황이 다시 화답하는 글을 보내면서 본격적인 논쟁으로 접어들게 되었다. 그런데 이에 대해 세간의 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일어났고, 그로부터 6년이 지난 뒤에 이황은 기대승에게 짤막한 편지를 보내 자신의 입장을 설명(說明)하기에 이르렀다. 좋은 참고자료가 되길 바랍니다. 참고문헌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한국철학 사상연구회, 예문서원, 1995
설명
순서
....사단은 맹자가 성선설의 근거로 제시한 것인 만큼 순선무악한 것이고, 칠정은 발동하여 중절한 경우는 선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악이므로 유선유악하다고 본 것이다.
좋은 참고reference(자료)가 되길 바랍니다. 그뿐만 아니라 주희는 사단에도 부중절이 있다고 한 적이 있기 때문에 깊이 따지고 들어가면 사단의 경우도 반드시 순선무악한 것은 아니라는 주장도 가능하게 된다된다. 사단 곧 선한 정은 순선무악한 성에 의해서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까지의 논의는 주희의 심성론으로 충분히 설명(說明)될 수 있다아 그러나 한 걸음 더 나아가 칠정 중의 악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 하는 질문을 던진다면 문제가 다르다.
도서를 읽고 정성껏 정리해 보았습니다.
2. 논쟁의 내용과 전개
사칠논쟁,사단칠정,사단칠정논쟁,성리학논쟁,성리학,사단,심성론,
3. 논쟁의 의의





1. 논쟁의 발단
bibliography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한국철학 사상연구회, 예문서원, 1995
사단칠정논쟁(사칠논쟁)이란? (논쟁의 발단, 전개, 의의 등)
1. 논쟁의 발단
다.
본문내용
Download : 사칠 논쟁.hwp( 25 )
목차
논쟁의 발단은 추만 정지운의 『천명도』를 이황이 수정하면서 비롯되었다. 이 경우 인간의 선한 심리 현상을 설명(說明)하는 것은 문제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