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스의 교육관`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9 11:51
본문
Download : `피터스의 교육관`에 대하여.hwp
교육과정및평가22 , `피터스의 교육관`에 대하여사범교육레포트 ,
Ⅰ. 서 론 1
Ⅱ. 본 론 1
1. 자유교육의 history 1
2. 피터스 교육의 concept(개념) 2
3. 피터스의 교육과 자유교육 3
4. 피터스의 선험적 정당화 4
5. 피터스 교육사상의 비판적 논의 5
6. 사회적 실제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 6
Ⅲ. 결 론 7
* 출처 *
(1) 공헌점
피터스와 허스트의 자유교육 아이디어가 교육에 주는 공헌점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먼저 피터스와 허스트의 자유교육론은 우리가 교육행위를 한다고 할 때, 무엇보다도 교육의 본질적 목적에 충실해야 할 것을 주장한 점에 있다 피터스와 허스트의 시대나 지금이나 할 것 없이, 교육은 본질적인 목적을 추구하기보다는 비본질적인 목적에 의해 교육이 압도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피터스와 허스트의 자유교육론의 주장은 오직 사소한 가치를 가진 것이나 교육의 concept(개념)과 그다지 관련이 없는 수단적인 가치를 추구해서는 안되며, 내재적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는 주장은 우리로 하여금 부단히 교육의 본질적 의미를 검토하도록 하며, 그러한 본질에 충실하도록 주의를 환기시켜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피터스와 허스트의 주장이 그럴 듯 하다면 지식교육을 할 때, 우리는 각각의 지식의 형식의 성격에 충실하게 가르쳐야 하며, 지식이나 정보를 맹목적으로 주입하거나 전달하기보다는 지식이나 정보를 통해 사물을 통합할 수 있는 안목을 형성해야 하며, 인간 삶의 다양한 국면을 사정하고 거기에 빛을 던져주는 능력을 형성하게 해야 한다. 둘째로, 왜 지식의 형식을 가르쳐야 하는가의 문제에 대한 한가지의 대답 방식과 우리가 지식교육을 한다고 할 때,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해 말해준다. 그러므로 지식의 형식은 교육의 가치가 의존해야 할 논리적 기반이며, 문명된 삶을 사는 사람들이 마땅히 받아들여야 하는 논리적 가정인 것이다.교육과정및평가22
레포트/사범교육
순서
`피터스의 교육관`에 대하여
피터스가 중요시한 내재적 가치와 이를 설명하는 방식으로의 선험적 정당화에 대하여 살펴보고, 피터스의 교육관이 자유교육의 정신을 현대에 어떻게 살려내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2) 비판
…(투비컨티뉴드 )
설명
Download : `피터스의 교육관`에 대하여.hwp( 32 )
,사범교육,레포트






피터스가 중요시한 내재적 가치와 이를 설명(explanation)하는 방식으로의 선험적 정당화에 대하여 살펴보고, 피터스의 교육관이 자유교육의 정신을 현대에 어떻게 살려내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지식의 형식을 가르치는 이유는 지식의 형식을 추구하는 것 자체가 교육의 내재적 가치이기 때문이고, 지식의 형식이 삶의 기반이거나 삶의 기반을 이해하는 유일한 방편이기 때문이다 피터스와 허스트에 의하면, 지식, 이해, 인지적 안목을 추구하는 일과 관련된 교육의 내재적 가치는 합리적인 삶을 영위하는 표준을 제공해주는 지식의 형식에의 입문을 통해 가능하며, 지식의 형식은 인간은 삶의 다양한 측면을 탐구하는 기반을 제공해준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