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 - 향가와 시대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06:07
본문
Download : 한문학 - 향가와 시대상.hwp
한자는 기원전 3-4세기에 한반도에 유입된 것으로 보이며, 어법이 다른 입말을 외래에서 들어온 문자에 맞추는 방식으로 자리를 잡았다. 겉보기에는 한자를 나열해 놓은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신라인들은 그것을 한자가 아닌 우리말로 읽었다.
한문학 - 향가와 시대상
2-2. 문무왕 (원왕생가)
4-1. 헌강왕 (처용가)
1-3. 향가의 기록
3. 8세기 향가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1. 향찰의 발생 배경
1-2. 향찰(향가)의 표기
1. 향가의 발생
1-1. 향찰의 발생 배경
3-2. 경덕왕 (도솔가 / 안민가)
한문학,향가와 시대상
2-3. 효소왕 (모죽지랑가)
2-1. 진평왕 (서동요, 혜성가)
1. 향가의 발생 1-1. 향찰의 발생 배경 1-2. 향찰(향가)의 표기 1-3. 향가의 기록 2. 7세기 향가 2-1. 진평왕 (서동요, 혜성가) 2-2. 문무왕 (원왕생가) 2-3. 효소왕 (모죽지랑가) 3. 8세기 향가 3-1. 성덕왕 (헌화가) 3-2. 경덕왕 (도솔가 / 안민가) 4. 9세기 이후 향가 4-1. 헌강왕 (처용가)





순서
4. 9세기 이후 향가
1-2. 향찰(향가)의 표기
다.
2. 7세기 향가
3-1. 성덕왕 (헌화가)
Download : 한문학 - 향가와 시대상.hwp( 31 )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유리왕 5년에 ‘도솔가’가 지어진 것이 시초라고 하였으나, 오늘날 전해지는 향가는 6세기 통일신라이후의 것들이다. 따라서 신라 제26대 진평왕 전후(6,7세기)때의 ‘서동요’에서 고려 제4대 왕 광종 때 균여대사가 지은 ‘보현십원가’에 이르기까지 약 370여 년 동안 성행한 듯하다. 때문에 유입부터 정착까지의 혼란기가 길었던 한자는 기준이 정립되지 않은 다양한 방법으로 뿌리 내리게 되었다.
설명
1-3. 향가의 기록
향찰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 우리말 문장을 구현하던 일종의 표음식(表音式) 자차인데, 이를 향가식 표기법이라고도 한다. 한자를 빌려 쓸 수밖에 없던 상황에서 한문 문법에 익숙지 못한 신라인들이 고안해 낸 고유의 표기 방법 인 것이다. 그 중 향찰은 한자를 빌어 ‘우리말’의 형식으로 기록한 것으로 한자 사용의 한 갈래라고 볼 수 있다. 현재는 <삼국유사(三國遺事)>의 14수와 <균여전(均如傳)>의11수만이 기록으로 전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