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 장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5 06:51
본문
Download : 의사.hwp
언어발달지체가 기질적인 경우는 이비인후과, 재활의학과, 소아정신과 의사의 도움을 받고, 심리검사자, 청각사, 사회복지사, 교사, 부모 등의 opinion(의견)을 종합하여 수렴한다.③ 중재자는 아동에게 적절한 중재 프로그램을 디자인하기 위한 지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 (학습맥락은 자연적인 environment(환경) 과 유사해야 하며, 부모 또는 아동과 접촉이 많은 사람을 언어중재자로 참여시켜야 한다.
의사소통 장애
Download : 의사.hwp( 35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Chars Van Ripe r(1994). 언어치료학. 이규식ㆍ권도하공역. 서울:학문사
셋째, 아동에게 기대되는 언어 행위에 관한 토론이 이루어져야 한다.)
Ⅴ. 언어장애아동의 교육과 치료
신현기외 (2000). 특수교육의 이해. 서울:교육과학사
의사소통장애 말더듬 언어장애아동 언어진단 / 김승국 (1999). 특수교육학. 서울:양서원 신현기외 (2000). 특수교육의 이해. 서울:교육과학사 Chars Van Ripe r(1994). 언어치료학. 이규식ㆍ권도하공역. 서울:학문사 정옥란 역 (1993). 음성과 음성치료. 서울:배영출판사 (특수교육)
다. ④ 평가결과에 따라 장기목표(目標)와 단기목표(目標)를 정해야 한다. ② 중재의 목표(目標)와 내용은 아동에게서 나타난 다양한 요구와 일치하여야 한다.
Ⅱ. 아동의 언어발달 theory
정옥란 역 (1993). 음성과 음성치료. 서울:배영출판사
(3) 중재방법 : ① 아동의 현재 언어발달정도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디자인하고 정한다. ⑥ 목표(目標)지향적인 언어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며, 치료에 대한 효율는 수시로 재평가되어야 한다.
(1) 定義(정이) : 언어의 발달이 같은 생활연령을 가진 대다수의 아동에 비해 느린 속도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모델링, 모방, 강화 등)
- 다차원적인 검사를 실시한다.
(특수교육)
설명
둘째, 중재의 상황과 관련있는 요인이 있다.
참고한 문헌
Ⅲ. 언어장애의 定義(정이) 및 분류
4) 언어발달지체
<중재프로그램 작성시 고려해야 할 점>
의사소통장애 말더듬 언어장애아동 언어진단
- 아동의 인지능력과 상호관련이 있다.
의사소통장애 말더듬 언어장애아동 언어진단 / 김승국 (1999). 특수교육학. 서울:양서원
Ⅰ. 언어의 구조





Ⅳ. 언어진단 및 평가
순서
넷째, 언어의 이해와 표현에 대한 상대적인 강조점이 논의되어야 한다. ⑤ 모든 중재 내용은 아동의 흥미영역을 중심으로 출발하여야 한다.
(2) 요인 및 진단: 정신지체, 청각장애, 정서장애, 뇌기능장애, environment(환경) 적 요인 등
첫째, 청각손실, 열악한 건강 상태,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 패턴등 아동의 언어학습을 방해하는 요인들을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