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의 세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7 23:01
본문
Download : 훈민정음의 세계.hwp
여러 파트로 나눠 한글의 창제, 그 원리, 우수성등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세종대왕은 언어 정책 수립에 그쳤고, 연구는 신숙주를 비롯한 집현전 학자들이 했다고 추측하기도 하지만, 오늘날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세종대왕이 정인지, 신숙주, 성삼문, 이개, 최항, 박팽년 등의 집현전 학사들의 도움을 받아 만들었다고 기술하고 있따 또한 훈민정음이 창제되었다고 알려진지 한달 보름만인 세종 26년(1444)음력 2월 16일 세종이 집현전 교리 최항, 부교리 박팽년, 부수찬 신숙주·이선로·이개, 돈녕부 강희안 등에게 명하여 의사처에 나아가 언문으로 운회를 번역하게 하였는데, 동궁과 진양대군 유 및 안평대군 용으로 하여금 이 일을 관장하게 한 것과 신숙주의 <홍무정운역훈> 서문 등에 근거하여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에 왕자들이 도왔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따
Ⅱ. 훈민정음의 의미
훈민정음은 두 가지 뜻을 가지고 있따
1) 세종대왕이 세종 25년 (1443년) 음력 12월에 창제한 문자를 뜻한다.
Ⅲ. 한글창제의 동기
`훈민정음`이란 위대한 culture적 창조의 동기와 목적에 관하여는 `훈민정음` 가운데에서 세종대왕이 몸소 말씀하였다.
레포트/인문사회
우리나라의 언어인 한글에 대해 자세히 설명(explanation)되어 있는 리포트입니다. , 훈민정음의 세계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1. 훈민정음의 창제자
2. 훈민정음의 의미
3. 한글창제의 동기
4. 훈민정음의 기원설
5. 원본 훈민정음의 내용
6.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7. 한글의 명칭과 맞춤법
8. 한글의 우수성
9. 한글창제에 관한 공박
10. 한글날의 역사(歷史)
11. 외국인도 극찬하는 한글의 우수성
Ⅰ. 훈민정음의 창제자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서문이나 최만리 등의 훈민정음 반대 상소문에 대한 힐문에서는 세종 스스로 훈민정음을 지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또 정인지의 훈민정음 해례 서문과 최만리 등의 훈민정음 반대 상소문을 비롯한 당시의 문헌들은 한결같이 세종대왕이 몸소 지은 것이라 하였다. ( 현재는 한글이라는 명칭을 쓰고 있따)
2) 세종 28년 (1446년) 음력 9월 상한에 완성된 훈민정음이라는 책을 뜻한다. 여러 파트로 나눠 한글의 창제, 그 원리, 우수성등에 대해 설명(explanation)했습니다.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우리나라의 언어인 한글에 대해 자세히 설명되어 있는 리포트입니다.
國之語音, 異乎中國, 與文字不相流通. 故愚民, 有所欲言,而終不得伸其情者,多矣. 予, 爲此憫然, 新制二十八字,欲使人人易習, 便於日用耳
이 말씀이 지극히 간단하나 자세히 살펴보면, 그 속에 우리가 알고자 하는 바가 다 들어 있음을 알겠다.
1) 우리나라에는 독특한 배달말이 있으니, 이 말을 적어 내기에 알맞은 글자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To be continued )
훈민정음의 세계
Download : 훈민정음의 세계.hwp( 86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