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협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3 06:58
본문
Download : 생물다양성협약.hwp
-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순서
1. 공식 명칭ㅇ생물다양성협약-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2. 채택 및 발효 경과ㅇ... , 생물다양성협약자연과학레포트 ,
1. 公式(공식) 명칭
ㅇ생물다양성협약
-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2. 채택 및 발효 경과
ㅇUNEP 제14차 집행이사회 결정
-생물다양성 협약제definition 타당성 검토를 위한 특별실무그룹 구성
ㅇ3회의 특별실무그룹회의 개최(88-90)
ㅇ7차에 걸친 협약 협상회의 개최(90.11-92.5) : 제1차 및 2차는 법률 및 기술전문가 회의, 3차 이후는 government 간 협상위원회(INC)
ㅇ92. 5.22. 케냐 나이로비에서 Final Act 채택(제7차 government 간 협상위원회)
ㅇ92. 6.13.브라질 리우회의 유엔環境개발회의(UNCED)에서 158개국 서명(아국 포함)
ㅇ93.12.29. 협약 발효(30개국 비준서 기탁후 90일)
ㅇ94.10. 3. 우리나라 가입
ㅇ98.3. 현재 171개국 비준(주요 미가입국 : 미국, 태국 등)
3. 협약의 주요내용
협약의 목적(제1조)
ㅇ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그 구성요소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확보하며 유전자원의 이용으로부터 나오는 이익의 공정·공평한 분배
용어의 definition (제2조)
ㅇ`생물다양성`
-육상, 해상 및 수중생태계와 이들 생태계가 이루는 복합생태계 등 모든 분야의 생물체간의 변이성
ㅇ`지속가능한 이용`
-장기적으로 생물다양성의 감소를 유발하지 아니하는 방식과 속도로 생물다양성의 구성요소를 이용함으로써 현세대와 未來(미래)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잠재력을 유지하는 것.
ㅇ`유전자원`
-실질적 또는 잠재적 가치를 가진 유전물질
협약의 원칙(제3조)
ㅇ국가는 자신의 자원을 개발할 수 있는 주권적 권리를 가지며 자신의 관할지역내에서의 활동으로 다른 국가의 環境에 피해가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할 책임 보유
의 무
①생물다양성과 그 구성요소의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의무(제6조 내지 제14조)
ㅇ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국가적 전술, 계획 또는 사업을 수립
ㅇ생물다양성의…(투비컨티뉴드 )
ㅇ생물다양성협약
Download : 생물다양성협약.hwp( 95 )
1. 公式 명칭
,자연과학,레포트
레포트/자연과학
ㅇ...
설명
2. 채택 및 발효 경과
생물다양성협약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