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고슬라비아 문학에 대한 紹介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06:16
본문
Download : Yugoslavliter.hwp
이들 여러 민족이 유고슬라비아 연방으로 통일을 이룩한 1918년부터 유고슬라비아인들은 세르보크로아티아어·슬로베니아어·마케도니아어 등 3종의 문어와, 라틴 문자와 키릴 문자 등 2종의 문자를 사용했다.
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국내에서 민족 갈등이 심화되면서 주요민족집단 사이에 분리주의가 되살아났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이 집권한 뒤는 정치적 통일을 지향하는 근대적 추세가 서로 다른 文化(culture) 적 정체성을 가진 history(역사) 적 유산과 대결을 벌인 시기였다.
1. 개요





유고슬라비아문학 문학 세르비아문학 크로아티아문학 마케도니아문학
Contemporary Croatian Literature : Ante Kadi, Mouton, 1960
유고슬라비아문학 문학 세르비아문학 크로아티아문학 마케도니아문학 / Monumenta SerbocroaticaA Bilingual Anthology of Serbian and Croatian Texts from the 12th to the 19th Century : Thomas Butler, Michigan Slavic Publication, 1980
유고슬라비아 문학에 대한 紹介
순서
Introduction to Yugoslav LiteratureAn Anthology of Fiction and Poetry : Branko Mikasinovich·Dragan Milivojevi·Vasa D. Mihailovich, 1973
A History of Yugoslav Literature : Antun Barac, Michigan Slavic Publication, 1974
Download : Yugoslavliter.hwp( 41 )
An Anthology of Modern Yugoslav Poetry in English Translation : Janko Lavrin, 1962
A Survey of Macedonian Literature : Horace G. Lunt, 1953
Contemporary Serbian Literature : Ante Kadi, 1960
Contemporary Yugoslav Literature : Sveta Luki, 1972
Storia della letterature slovena : Bruno Meriggi, 1961
4. 슬로베니아 문학
설명
Thirty Years of Yugoslav Literature, 1945-75 : Thomas Eekman, Michigan Slavic Publication, 1978
5. 마케도니아 문학 유고슬라비아에 살고 있는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마케도니아인의 history(역사) 가 지난 수천 년 동안 서로 달랐듯이 이 민족들의 문학도 각기 독자적으로 발전했다. 당대 유고슬라비아의 이러한 세계주의적 측면은 전통적 文化(culture) 중심지(세르비아인에게는 베오그라드, 크로아티아인에게는 자그레브, 슬로베니아인에게는 류블랴나, 마케도니아인에게는 스코플례)에 대한 변함 없는 애착과 균형을 이루고 있다. 3. 크로아티아 문학
New Writings in Yugoslavia : Bernard Johnson (ed.), Penguin Books, 1970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세르비아 문학
유고슬라비아문학 문학 세르비아문학 크로아티아문학 마케도니아문학 / Monumenta SerbocroaticaA Bilingual Anthology of Serbian and Croatian Texts from the 12th to the 19th Century : Thomas Butler, Michigan Slavic Publication, 1980 Thirty Years of Yugoslav Literature, 1945-75 : Thomas Eekman, Michigan Slavic Publication, 1978 A History of Yugoslav Literature : Antun Barac, Michigan Slavic Publication, 1974 Introduction to Yugoslav LiteratureAn Anthology of Fiction and Poetry : Branko Mikasinovich·Dragan Milivojevi·Vasa D. Mihailovich, 1973 Contemporary Yugoslav Literature : Sveta Luki, 1972 New Writings in Yugoslavia : Bernard Johnson (ed.), Penguin Books, 1970 An Anthology of Modern Yugoslav Poetry in English Translation : Janko Lavrin, 1962 Storia della letterature slovena : Bruno Meriggi, 1961 Contemporary Croatian Literature : Ante Kadi, Mouton, 1960 Contemporary Serbian Literature : Ante Kadi, 1960 A Survey of Macedonian Literature : Horace G. Lunt, 1953 ()
()
20세기에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의 문학은 종종 같은 민족 文化(culture) 의 표현으로 여겨졌다. 1948년에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이 소련 중심의 코민포름에서 제명당한 뒤 문학을 비롯한 모든 예술에서 공식적인 사회주의 리얼리즘 강요는 약해지기 처음 했고, 1950년대 중반부터 작가들은 서구 문학의 경향과 표현양식을 반영했다. 크로아티아인과 슬로베니아인은 일찍부터 중부 유럽의 文化(culture) 유산 가운데 일부를 형성한 반면, 세르비아인과 마케도니아인은 동방(비잔틴) 文化(culture) 권에 속해 있었고 나중에는 투르크 술탄에게 예속되었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비슷한 언어를 사용하는 슬로베니아인은 라틴 문자를 쓰지만, 마케도니아인은 키릴 문자를 쓴다. 특히 제1차 세계대전 직후, 통일 유고슬라비아의 수립과 더불어 행복감이 편만했을 때는 그런 경향이 강했다.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은 공통된 언어(세르보크로아티아어)를 사용하지만, 문자는 각각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를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