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학회 1999년도 제3차 월례발표회 발표론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6 20:41
본문
Download : 경제사학회 1999년도 제3차 월례발표회 발표론문.hwp
결국 한국과 대만에서 生産力의 증대가 비약적으로 나타나면서 흔히 비교되고는 하는 東아시아와 라틴 아메리카 諸國 간의 경제적 성취의 차이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게 된 것은 사실상 重化學工業化 정책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1970년대 이후부터라는 것이다. 한국은 여전히 貿易赤字國이었으나 국내총생산에 대한 적자의 비율은 1976-78년 mean(평균) 3.9%에 그쳐 오히려 석유위기 이전에 비해 크게 improvement되었다고 할 수 있다아 반면 브라질에서는 무역적자의 비율이 46.4%에 달했는데, 이것은 석유위기 기간보다는 줄었으나 그 이전보다는 현저히 악화된 수치이다.
1970년대 …(省略)
순서






경제사학회 1999년도 제3차 월례발표회 발표론문
석유위기 직후인 1976-78년 동안 세 나라의 국민소득과 제조업 실질산출량은 한국과 대만이 각각 12.4%와 25.2%, 11.2%와 21... , 경제사학회 1999년도 제3차 월례발표회 발표론문경영경제레포트 ,
,경영경제,레포트
Download : 경제사학회 1999년도 제3차 월례발표회 발표론문.hwp( 73 )
설명
다. 무역수지에 있어서도 대만의 경우를 보면 1974-75년에는 무역적자를 기록했으나 1976년부터는 다시 흑자국으로 전환하여 1976-78년 mean(평균) 국내총생산의 15.1%에 달하는 무역흑자를 기록했다.
레포트/경영경제
석유위기 직후인 1976-78년 동안 세 나라의 국민소득과 제조업 실질산출량은 한국과 대만이 각각 12.4%와 25.2%, 11.2%와 21...
석유위기 직후인 1976-78년 동안 세 나라의 국민소득과 제조업 실질산출량은 한국과 대만이 각각 12.4%와 25.2%, 11.2%와 21.6%의 성장을 기록한 반면 브라질에서는 불과 7.6%와 7.5%의 증가만을 기록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