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化(문화)적 역량과 사회복지 실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7 17:18
본문
Download : 문화적 역량과 사회복지 실천.pptx
文化(문화)적 역량과 사회복지 실천
_SLIDE_1_
문화적 역량과 사회복지 실천
_SLIDE_2_
목차
한국사회와 다문화화
문화적 역량의 concept(개념)
문화적 역량의 necessity
문화적 역량의 발달theory(이론)과 구성요소
문화적 역량의 모형
문화적 역량의 적용방안(方案)
_SLIDE_3_
한국사회와 다문화화
단일민족과 단일문화의 신화를 가지고 살아왔던 한국사회
현재는 급속한 다문화 사회 진입
새터민, 국제결혼가정, 이주노동자등 한국으로의 유입
_SLIDE_4_
한국사회와 다문화화
한국 국적소유 여부
○ 한국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 : 1,117,481명(79.3%)
- 외국인근로자 588,944명(41.8%), 결혼이민자 144,214명(10.2%)
- 유학생 87,221명(6.2%), 외국국적동포 135,020명(9.6%)
- 기업투자자 등 기타 162,082명(11.5%)
○ 한국국적을 가지고 있는 자 : 292,096명(20.7%)
- 국적취득자 123,513명(8.7%) : 혼인귀화자 76,473명(5.4%), 기타사유 귀화자 47,040명(3.3%)- 외국인주민 자녀 168,583명(12%)
_SLIDE_5_
`외국인 주민 변동추이`
_SLIDE_6_
`국내 유입 외국인 국적 비율`
_SLIDE_7_
문화적 역량의 concept(개념)
문화:언어,사고,의사소통기술,행동,습관,신념,가치,인종,민족, 종교, 사회적 집단과 같은 제도를 포함한 총체적 인간의 패턴을 의미
역량:은 개인 실천가나 서비스 조직이 서비스 이용자 개인이나 지history회가 갖고 있는 문화적 신념, 행동과 욕구 등과 같은 맥락 안에서 결과 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
_SLIDE_8_
문화적 역량의 concept(개념)
문화적 역량
다문화적 environment에서 서비스 이용자의 문화와 실제적 삶의 경험이란 맥락 안에서 서비스를 결과 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
_SLIDE_9_
문화적 역량의 concept(개념)
문화적 역량의 주요 구성요소
(1)문화적 인식
…(To be continued )
Download : 문화적 역량과 사회복지 실천.pptx( 65 )






문화적,역량과,사회복지,실천,인문사회,레포트
문화적 역량과 사회복지 실천 , 문화적 역량과 사회복지 실천인문사회레포트 , 문화적 역량과 사회복지 실천
文化(문화)적 역량과 사회복지 실천
설명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