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부산 진일신여학교 답사 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00:45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부산 진일신여학교 답사 보고서.hwp
이 학교는 호주 선교사들이 1895년 10월 15일 좌천동에 있던 한 칸의 초가에서 소학교를 설치한 것이 시초가 되었다. 그러다 1909년 신축교사로 이전하게 되는데 그 신축교사 건물이 지금의 일신여학교 초기 모습이다. 좌천역에 내려 오르막길을 한참 올라가다 보면 나오는 옆의 빨간 벽돌 건물이 바로 진일신여학교이다.
순서
[사회과학] 부산 진일신여학교 답사 보고서 , [사회과학] 부산 진일신여학교 답사 보고서기행답사서평감상 , [사회과학] 부산 진일신여학교 답사 보고서
[사회과학],부산,진일신여학교,답사,보고서,기행답사,서평감상
Download : [사회과학] 부산 진일신여학교 답사 보고서.hwp( 38 )
`부산 진일신여학교 답사 보고서`
Ⅰ.도입
Ⅱ. 건축에 관하여- 부산 최초의 근대적 서양식 건축물
Ⅲ. 교육에 관하여- 한강 이남의 최초 근대여성교육기관
Ⅰ.도입
2013년 10월 25일, 금요일. 우리 2조 5명은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1동 에 위치해 있는 부산 진일신여학교에 답사를 다녀왔다. 또 두 번째는 이런 건축학적 의의 이외에도 최초 근대 여성교육 기관으로…(drop)
설명
[사회과학] 부산 진일신여학교 답사 보고서
서평감상/기행답사
![[사회과학]%20부산%20진일신여학교%20답사%20보고서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B6%80%EC%82%B0%20%EC%A7%84%EC%9D%BC%EC%8B%A0%EC%97%AC%ED%95%99%EA%B5%90%20%EB%8B%B5%EC%82%AC%20%EB%B3%B4%EA%B3%A0%EC%84%9C_hwp_01.gif)
![[사회과학]%20부산%20진일신여학교%20답사%20보고서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B6%80%EC%82%B0%20%EC%A7%84%EC%9D%BC%EC%8B%A0%EC%97%AC%ED%95%99%EA%B5%90%20%EB%8B%B5%EC%82%AC%20%EB%B3%B4%EA%B3%A0%EC%84%9C_hwp_02.gif)
![[사회과학]%20부산%20진일신여학교%20답사%20보고서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B6%80%EC%82%B0%20%EC%A7%84%EC%9D%BC%EC%8B%A0%EC%97%AC%ED%95%99%EA%B5%90%20%EB%8B%B5%EC%82%AC%20%EB%B3%B4%EA%B3%A0%EC%84%9C_hwp_03.gif)
![[사회과학]%20부산%20진일신여학교%20답사%20보고서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B6%80%EC%82%B0%20%EC%A7%84%EC%9D%BC%EC%8B%A0%EC%97%AC%ED%95%99%EA%B5%90%20%EB%8B%B5%EC%82%AC%20%EB%B3%B4%EA%B3%A0%EC%84%9C_hwp_04.gif)
![[사회과학]%20부산%20진일신여학교%20답사%20보고서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B6%80%EC%82%B0%20%EC%A7%84%EC%9D%BC%EC%8B%A0%EC%97%AC%ED%95%99%EA%B5%90%20%EB%8B%B5%EC%82%AC%20%EB%B3%B4%EA%B3%A0%EC%84%9C_hwp_05.gif)
[사회과학] 부산 진일신여학교 답사 보고서
다.
이 학교를 답사 장소로 정하게 된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서양식 건물로써 전국적으로 지금까지 남아 있는 건물 중 유례가 드물고 비교적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을 뿐 아니라, 비례와 균형미가 돋보이는 휼륭한 건축물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초기 학교 건물로는 손꼽을 만큼 희소가치를 지니고 있어 건축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reference(자료)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