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 개론 (관련강의 期末考査용), 공자 묵자 도가 양주 노자 장자 맹자 순자 한비자 법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13:38
본문
Download : 동양철학 핵심 사상 정리.hwp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순자, 맹자와 비교, 맹자(성선설) 순자(성악설), 화성기위化性起僞
순서
한비자 법가, 심리, 모순,
도가 양주, 노장과 양주, 다기망양, 백왕흑귀
묵자, 겸애, 비유, 비악, 사랑, 천지,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
공자, 인仁, 중용, 군자, 도, 왕도, 군자와 소인, 정명, 덕치, 천명사상, 충서 묵자, 겸애, 비유, 비악, 사랑, 천지,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 도가 양주, 노장과 양주, 다기망양, 백왕흑귀 노자, 위학일익 위도일손, 반자도지동,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현빈 장자, 포정해우, 우언, 중언, 치언, 심재 맹자, 천명지위성, 노력자 노심자, 측은지심, 호연지기, 무항산 무항심, 연목구어 순자, 맹자와 비교, 맹자(성선설) 순자(성악설), 화성기위化性起僞 한비자 법가, 심리, 모순,
설명
맹자, 천명지위성, 노력자 노심자, 측은지심, 호연지기, 무항산 무항심, 연목구어
장자, 포정해우, 우언, 중언, 치언, 심재





동양철학 개론 (관련강의 期末考査용), 공자 묵자 도가 양주 노자 장자 맹자 순자 한비자 법가
노자, 위학일익 위도일손, 반자도지동,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현빈
仁 인
공자
禮를 수호화기 위해 공자는 도덕윤리의 측면에서 仁의 학설을 제시했다. 仁이라는 어휘 자체는 공자 이전부터 이미 일상적으로 사용되어왔지만 철학범주로서 제기된 것은 공자에 의해서였다.라고 말하였다. 공자가 내놓은 仁은 이후 중국 철학사에서 중요 범주의 하나가 되었다. 『논어』에서 仁에 대한 언급이 아주 많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공자가 안연의 물음 에 답한 한 구절이다. 이 구절은 禮와 仁의 관계를 개괄하고 공자의 仁학설의 기본 내용을 說明(설명) 해준다. 그래서 하루라도 극기복례(克己復禮)를 이룬다면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그를 가리켜 어진 사람이라고 부르게 된다는 것이다.
다. 단 하루라도 자 신을 이기고 예를 회복한다면 온 세상 사람들이 그를 어진 사람이라고 할 것이다. 克己란 자기 억제이며 復禮는 禮에 부합되지 않은 언행을 禮의 원칙에 부합되도록 한다면 이것이 바로 仁이라는 것이다.
공자, 인仁, 중용, 군자, 도, 왕도, 군자와 소인, 정명, 덕치, 천명사상, 충서, 묵자, 겸애, 비유, 비악, 사랑, 천지,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 도가 양주
공자, 인仁, 중용, 군자, 도, 왕도, 군자와 소인, 정명, 덕치, 천명사상, 충서
Download : 동양철학 핵심 사상 정리.hwp( 91 )
안연이 인에 대해 물었을 때 공자는 자신을 이기고 예를 회복하는 것이 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