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g.kr 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 - 부당노동행위 구제절차 > hong3 | hong.kr report

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 - 부당노동행위 구제절차 > hong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hong3

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 - 부당노동행위 구제절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7 08:17

본문




Download : 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hwp





② 단체교섭거부
단체교섭권이 침해당한 노동조합에게 구제신청권이 인정되고, 조합원 개인에게는 인정되지 않는다.
④ 상부단체, 지부?분회의 경우
상부단체는 소속…(省略)

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
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Ⅱ. 초심절차

1. 구제신청
1) 신청인
구제신청을 할 수 있는 자는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로 인해 권리를 침해당한 근로자 또는 노조법상 노동조합이다.

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_hwp_01.gif 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_hwp_02.gif 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_hwp_03.gif 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_hwp_04.gif 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_hwp_05.gif 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_hwp_06.gif

순서
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법학행정,레포트




레포트/법학행정










설명
부당노동행위 구제절차

Ⅰ. 서

1.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의의
근로자 또는 노동조합의 근로3권 실현활동에 대한 사용자의 침해 내지 간섭행위를 부당노동행위라고 하며, 이러한 행위의 금지와 구제절차 및 벌칙을 정한 제도를 부당노동행위제도라 한다. 한편 노조의 구제신청권은 관련 근로자의 신청권과는 별개의 구제실익을 갖는 독자적인 권한이다. 노동위원회의 결정에 불복하는 자는 행정법원에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며, 이와 별도로 법원에 직접소송을 제기할 수 있따

3. 행정적 구제절차와 사법적 구제절차
근로3권의 보호는 성질상 신속성?간이성?전문성이 요구되는데 법원에 의한 구제는 절차가 복잡하고 시간?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 때문에 행정적 구제제도를 두고 있따
반면 사법적 구제는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청구 및 법적지위의 확인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양자간 구제범위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닐것이다. 또한 노조의 결성이 사용자에 의해 좌절되는 경우 결성에 참여한 개별근로자에게 구제신청권이 인정된다된다. , 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 - 부당노동행위 구제절차법학행정레포트 , 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 - 부당노동행위 구제절차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③ 지배개입의 경우
노조는 물론 개별조합원에게도 구제신청권이 인정된다된다.

2. 구제절차의 기본체계
노동위원회에 의한 구제절차는 초심절차와 재심절차로 진행된다된다. 그리고 노조의 설립과정에서 발생한 불이익취급에 대하여는 그 행위 이후 설립된 노조도 독자적인 구제신청권을 갖는다.

Download : 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hwp( 35 )


부당노동행위구제절차 - 부당노동행위 구제절차
다. 다만 노조법상 노조가 아닌 경우에도 불이익 취급이나 반조합계약 사건과 관련하여 근로자 개인의 명의로 구제신청을 할 수 있따

① 불이익취급, 반조합계약의 경우
이 때는 근로자뿐만 아니라 노동조합에게도 구제신청권이 인정된다된다.
전체 6,70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hong.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