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답사기] “내가 사는 수원에는 화성(華城)이 있었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0 05:35
본문
Download : [화성 답사기] “내가 사는 수원에는 화성(華城)이 있었다”.doc
학교 과제물 작성이라는 목적과 이참에 화성을 한번 둘러 보자는 생각으로 화성 답사를 나서기로 했다. 아쉽게 2층에 오르지는 못했지만, 2층에 오르면 100여리의 거리를 조망 할 수 가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이야 고층빌딩과 아파트만 보이겠지만, 아마도 옛날에는 병점까지 넓은 들과 …(skip)
순서
Download : [화성 답사기] “내가 사는 수원에는 화성(華城)이 있었다”.doc( 46 )
수원에서 8여년이 생활을 해오며, 수원시 홍보물을 통해 화성이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문화 유산이라거나, 세계적인 문화가치가 있는 성이라는 등 상식수준의 지식만 가지고 있었을 뿐, 그저 시내를 지나며 보았던 남문이나 북문은 오래 전에 잘 지은 석조 건축물이라는 느낌뿐이었다.
화성답사기
수원에서 8여년이 생활을 해오며, 수원시 홍보물을 통해 화성이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문화 유산이라거나, 세계적인 문화가치가 있는 성이라는 등 상식수준의 지식만 가지고 있었을 뿐, 그저 시내를 지나며 보았던 남문이나 북문은 오래 전에 잘 지은 석조 건축물이라는 느낌뿐이었다.
남포루와 서남암문을 지나 서장대에 이르는데,
• 서장대.
군사를 지휘하던 곳으로, 2층 구조의 아주 날씬한 누각형태의 모습이다.화성답사기 , [화성 답사기] “내가 사는 수원에는 화성(華城)이 있었다”공학기술레포트 ,
설명
다. 문 자체는 돌을 다듬어 꼼꼼하게 쌓았으나 문을 감싼 성벽은 벽돌로 만들어, 적의 대포공격을 공격을 받았을 때 훼손의 범위를 최소화 시키려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든다.
• 팔달문( 남문 )
팔달문은 돌로 만든 무지개형태의 성문 위에 2층 구조로 지어져 있는데 벽돌로 쌓은 성벽이 성문 앞쪽을 싸고있는 구조이다. 주요 시설과 규모를 보면,
48개의 시설물을 포함하여 총 둘레 약 5.7 Km의 길이이며, 동서남북으로 관문을 두었고( 동: 창룡문, 서: 화서문, 남: 팔달문, 북: 장안문 ) 이 관문들 사이에는 성 외부 사방 100리를 살필 수 있는 시설인 공심돈(공심돈)과 군사를 훈련시키는 장소( 서장대 와 동장대 ) 통신을 위해 봉화를 올리던 봉돈( 봉돈) 수원천을 가로질러 남,북에 설치된 수문( 북수문: 화홍문, 남수문: 지금은 없음 )
Ⅱ. 화성 답사
가을의 화창한 날씨속에, 가파른 계단을 힘들게 올라, 팔달문(남문)에서 부터 화성을 밟아보는 답사를 스타트한다. 학교 project물 작성이라는 목적과 이참에 화성을 한번 둘러 보자는 생각으로 화성 답사를 나서기로 했다. 아스팔트와 콘크리트위를 벗어나 흙을 밟는 상쾌함과 일상을 벗어난 홀가분함, 도심속에 있는 옛날의 흔적 속으로 들어가는 느낌이 좋다. 또한 군사적 방어목적 외에도 민생편의를 위해 문이나 도로,다리등의 시설과 농사를 짓기 위한 저수지등을 설치하여 건설하였다. 지붕이나 문을 둘러싼 성채가 야무지게 생겼고, 특이한 것은 성문에는 “ 오성지 ”라는 시설을 만들어 화공을 당했을 때, 물을 이용해서 불을 끌 수 있었다고 한다.
레포트/공학기술
![[화성%20답사기]%20“내가%20사는%20수원에는%20화성(華城)이%20있었다”_doc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9%94%EC%84%B1%20%EB%8B%B5%EC%82%AC%EA%B8%B0%5D%20%E2%80%9C%EB%82%B4%EA%B0%80%20%EC%82%AC%EB%8A%94%20%EC%88%98%EC%9B%90%EC%97%90%EB%8A%94%20%ED%99%94%EC%84%B1(%E8%8F%AF%E5%9F%8E)%EC%9D%B4%20%EC%9E%88%EC%97%88%EB%8B%A4%E2%80%9D_doc_01.gif)
![[화성%20답사기]%20“내가%20사는%20수원에는%20화성(華城)이%20있었다”_doc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9%94%EC%84%B1%20%EB%8B%B5%EC%82%AC%EA%B8%B0%5D%20%E2%80%9C%EB%82%B4%EA%B0%80%20%EC%82%AC%EB%8A%94%20%EC%88%98%EC%9B%90%EC%97%90%EB%8A%94%20%ED%99%94%EC%84%B1(%E8%8F%AF%E5%9F%8E)%EC%9D%B4%20%EC%9E%88%EC%97%88%EB%8B%A4%E2%80%9D_doc_02.gif)
![[화성%20답사기]%20“내가%20사는%20수원에는%20화성(華城)이%20있었다”_doc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9%94%EC%84%B1%20%EB%8B%B5%EC%82%AC%EA%B8%B0%5D%20%E2%80%9C%EB%82%B4%EA%B0%80%20%EC%82%AC%EB%8A%94%20%EC%88%98%EC%9B%90%EC%97%90%EB%8A%94%20%ED%99%94%EC%84%B1(%E8%8F%AF%E5%9F%8E)%EC%9D%B4%20%EC%9E%88%EC%97%88%EB%8B%A4%E2%80%9D_doc_03.gif)
[화성 답사기] “내가 사는 수원에는 화성(華城)이 있었다”
,공학기술,레포트
Ⅰ. 화성 답사를 나서며.
• 축성의 시대적 배경
• 축성의 정치 및 민생적 배경
• 축성 과정 및 규모
Ⅱ. 화성 답사
• 팔달문( 남문 )
• 서장대.
• 화서문 과 서북공심돈
• 화홍문( 북수문 )과 방화 수류정( 동북각루 )
Ⅲ. 화성을 뒤로하며.
주 재료로는 돌과 벽돌을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화살뿐만 아니라 총이나 대포의 공격으로부터의 방어도 할 수 있는 근대적 구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