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의 종류와 절차 및 구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8 15:16
본문
Download : 굿의 종류와 절차 및 구성.hwp
공동체를 위한 동신제로는 강원도의 별신제, 서울의 임장군굿, 경기 도당굿, 국사당 단오굿, 어업을 생업으로 하는 해안지방의 용신굿, 배굿 등과 각 마을의 당굿, 대동굿 등이 있다 당굿은 큰 의미로 마을의 안녕과 무사를 빌기 위한 제의로써 기일이 되면 온 동네 사람들이 푼푼이 걸립을 하고 제관을 뽑아 준비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 굿은 살아 있는 사람을 위한 굿과 죽은 사령의 저승천도를 위한 굿으로 나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주민들이 대동단결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이렇게 조례를 잡기만 하여도 굿덕을 볼 제가집은 그 조짐이 나타나기도 한다.
굿의 종류와 절차 및 구성 , 굿의 종류와 절차 및 구성의약보건레포트 , 굿 종류와 절차 구성
굿의 종류와 절차 및 구성
설명
순서
굿의 종류와 절차 및 구성
굿의 종류와 절차 및 구성
1. 굿의 종류
굿은 가정과 개인을 단위로하는 일반적인 굿과 마을의 생활공동체를 단위로하는 동신제인 당굿으로 크게 나눈다. 이 밖에도 강신무의 성무제의인 내림굿, 신굿, 가릿굿, 허주굿등의 특수제의가 있다
2. 굿의 절차와 구성
한 판의 굿이 벌어지기까지는 많은 준비와 정성이 들어가게 된다 문복을 하여 굿의 necessity need이 논하여지고, 제가의 뜻과 합의되면 먼저 굿의 대소규모와 택일을 정해야 한다. 굿을 하게된 제가에서는 택일된 날짜 이전에 굿에 소용되는 비용을 무당에게 전달하고, 무당은 조례잡는다하여 자신의 신당에다가 백미를 바치고 촛불을 밝혀 어느날 어느가정에서 어떠한 사연으로 굿을 올리게 되었음을 알린다. 조례를 잡고나서는 그 굿을 주관할 무당이나 제가집…(skip)
레포트/의약보건


Download : 굿의 종류와 절차 및 구성.hwp( 35 )
굿,종류와,절차,구성,의약보건,레포트
다. 굿의 규모는 문복자의 형편에 따라 대소간에 정해지며, 날짜는 제가식구들의 생기복덕을 가려 모든 식구들에게 이로운 날로 가려내게 된다 화급을 요하는 굿에는 택일이 필요없이 당일로 진행되기도 한다. 살아 있는 사람의 구복을 위한 안택굿, 재수굿, 성주굿, 구자를 위한 삼신굿, 칠성굿, 치병굿, 환자굿 등과 죽은 이를 위한 오구굿, 지노귀, 사자굿, 씻김굿, 조상굿, 수왕굿, 망묵굿 등이 일반 굿에 포함된다 여기에서 죽은 사령을 위한 굿도 결과적으로는 산 자의 평안과 행복을 비는 목적으로 마감되어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