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부외과 간호과정 실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14:55
본문
Download : 흉부외과 간호과정 실습.hwp
흉부외과CAOD문헌고찰
순서
레포트/의약보건






흉부외과 간호과정에서 실습한 내용으로 CAOD, PAOD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의약보건,레포트
1.CAOD coronary artery occulusive disease
(=CAD coronary artery disease, IHD ischemic heart disease)
A. definition
•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으로 인한 관상동맥의 협착증으로 심근의 혈류 공급에 장애가 생기는
병변을 가리키며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of coronary artery),협심증(angina pectoris), 심근경 색증(Myocardial Infaction)을 아우르는 것이다
• 관상동맥 질환을 기술할 때는 보통 우관상동맥, 조전하행동맥, 좌회선동맥의 세 가지 관상동맥계로 나누어 기술하며 병변이 생긴 수에 따라 각각, 단일, 이중 삼중(single,double,triple vessel disease) 혈관 병변으로 기술한다.흉부외과CAOD문헌고찰 , 흉부외과 간호과정 실습의약보건레포트 ,
설명
Download : 흉부외과 간호과정 실습.hwp( 84 )
다.
B. 발생빈도
• 서구에서는 오래전부터 가장 흔한 사망요인으로 잡고 있으며 미국에서 60만명 이상이 해마다 관상 동맥 질환 연관 병변으로 사망하고 약 25만례 정도의 관상동맥우회술(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관상동맥 혈관성형술(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PTCA) 을 시행하고 있다아
• 국내, Japan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에서 최근 식이습관의…(To be continued )
흉부외과 간호과정 실습
흉부외과 간호과정에서 실습한 내용으로 CAOD, PAOD 등에 대상으로하여 조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