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회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05:42본문
Download : .hwp
서화미술회 강습소의 교수진 전원과 단독으로 서화연구회를 운영하고 있던 김규진 외에 산수, 절지(折枝)가 득의(得意)였던 정학수와 검사 출신의 서예가 김돈희, 그리고 도오꾜오 미술학교 서양학과를 졸업한 신미술의 개척자 고희동이 민족적 긍지로 단합을 다짐하게 되었던 것이다.
3. 시대의식과 우리것의 모색
1. 서화협회의 결성
서화협회 전통 회화 / ()
설명
1918년 6월 16일, 서울 청계천변의 한 구옥 사랑채에서는 일단의 민족미술가들이 모임을 갖고, 우리의 근대미술사상 최초의 작가협회를 탄생시켰다. 그 날의 창립총회 장소를 제공한 김진옥(金鎭玉)은 은행가이며 서화 애호가였고, 뒤에 특별회원이 되어 협회 운영도 많이 도왔다. 서화협회의 발족이었다.
7. 제4.5 계보의 전통회화
5. 김은호의 문인들과 후소회
순서
2. 서화협회전과 조선미술전의 전통회화
서화협회 전통 회화
6. 이상범의 화숙과 허백련의 연진회
다.
Download : .hwp( 36 )
서화협회 전통 회화 / ()
4. 제 2세대의 세 경향
전통회화





레포트 > 기타
1910년 이후 서울에서의 日本(일본)인 화가들의 개인전, 그룹전, 기타 협회조직 등에도 자극되어, 민족미술가들의 결속 및 주체성 있는 미술운동이 절실함을 자각했던 서화협회의 발기인은 당시 민족서화계의 대표적 인물들인 조석진(趙錫晉), 안중식(安中植),이도영(李道榮),고희동(高羲東)등 13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