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아동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04:43
본문
Download : 장애아동을 위한 사회복지실천.hwp
설명
(3) 사회적 불리(handicap): 사회적 차원에서의 장애개념(槪念)으로 ‘기능장애나 능력장애로부터 야기되는 것으로서 연령, 성, 사회적, 문제적 요인에 따른 정상적인 역할의 수행을 제약 또는 방해하는 개인에 대한 불이익’을 의미한다.
장애아동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순서
1. 장애아동의 정의
레포트 > 기타
1) 장애의 개념(槪念)<중요도: ★★★>
장애아동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1. 장애아동의 정의 1) 장애의 개념<중요도: ★★★> (1) 기능장애(impairment): 기능장애는 심리적, 생리적 또는 해부학적 구조나 기능의 상실 또는 비정상을 뜻한다.
장애아동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다. (3) 사회적 불리(handicap): 사회적 차원에서의 장애개념으로 ‘기능장애나 능력장애로부터 야기되는 것으로서 연령, 성, 사회적, 문제적 요인에 따른 정상적인 역할의 수행을 제약 또는 방해하는 개인에 대한 불이익’을 의미한다.
(1) 기능장애(impairment): 기능장애는 심리적, 생리적 또는 해부학적 구조나 기능의 상실 또는 비정상을 뜻한다. 1) 장애의 concept(개념)<중요도: ★★★>
Download : 장애아동을 위한 사회복지실천.hwp( 98 )
(2) 능력장애(disability): 능력장애는 ‘기능장애로부터 야기된 것으로서 인간에게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범위 내에서 또는 그러한 방식으로써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의 제약 또는 결여를 뜻한다. (2) 능력장애(disability): 능력장애는 ‘기능장애로부터 야기된 것으로서 인간에게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범위 내에서 또는 그러한 방식으로써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의 제약 또는 결여를 뜻한다.
1. 장애아동의 definition
장애아동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3) 사회적 불리(handicap): 사회적 차원에서의 장애concept(개념)으로 ‘기능장애나 능력장애로부터 야기되는 것으로서 연령, 성, 사회적, 문제적 요인에 따른 정상적인 역할의 수행을 제약 또는 방해하는 개인에 대한 불이익’을 의미한다.
장애아동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1) 기능장애(impairment): 기능장애는 심리적, 생리적 또는 해부학적 구조나 기능의 상실 또는 비정상을 뜻한다.
(2) 능력장애(disability): 능력장애는 ‘기능장애로부터 야기된 것으로서 인간에게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범위 내에서 또는 그러한 방식으로써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의 제약 또는 결여를 뜻한다.